분류 전체보기24 에라토스테네스 에라토스테네스 천문학자하면 누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중학교때 배운 과학시간에 배웠던 지구 둘레 계산법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등 다양한 업적을 남긴 에라토스테네스가 떠올라요. 고대 그리스인이었던 에라토스테네스는 기원전 276년경에 태어났어요. 당시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범람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막대를 이용해서 그림자 길이를 재어보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 방법으로는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없었어요. 그래서 에라토스테네스는 막대기 대신 태양빛이 들어오는 각도를 재는 방법을 고안했어요. 그리고 이를 통해서 지구의 둘레를 구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이렇게 구한 값은 실제값과는 차이가 있었고, 이후 약 2000년 후에 실제로 지구의 둘레를 구하게 됩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어떻게 지구의 둘레를 알게되었나요? 지 구의 .. 2023. 5. 30. 베스토 슬라이퍼 베스토 슬라이퍼 천문학자 베스토 슬라이퍼는 1905년 7월 4일 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던 슬라이퍼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망원경을 선물받아 별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키워나갔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프린스턴 대학에 진학하였고, 재학 중 천체물리학 연구소인 케임브리지 천문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본격적으로 천문학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였습니다. 베스토 슬라이퍼는 어떤 업적을 남겼나요? 슬라이퍼는 1930년대 초반 윌슨산 천문대에서 근무하면서 허블우주망원경 제작에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은하계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 은하계의 나이를 약 100억 년으로 추정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태양계 내 행성들의.. 2023. 5. 29. 에드윈 허블 에드윈 허블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1929년 우주팽창설을 발표하며 우주의 나이를 137억년이라 주장했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빅뱅이론과 더불어 138억년이라는 어마어마한 시간동안 우주가 팽창했다는 걸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하필이면 137억년이었을까요? 그건 바로 지금으로부터 137억년전 빅뱅이 일어났고, 그때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이 137억년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엄청난 이론을 발견한 사람인 만큼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요, 어떤 업적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에드윈 허블은 누구인가요? 에드윈 허블은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였습니다. 1889년 2월 8일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태어났으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1910년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과정을 밟았습니다. 졸업 후 시카고 대학교.. 2023. 5. 29. 아서 스탠리 에딩턴 아서 스탠리 에딩턴 천문학자 아서 스탠리 에딩턴은 194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천체물리학자입니다.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현대 과학계 최고의 천재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우주 팽창 이론인 빅뱅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 또한 우주의 나이가 약 138억 년이라는 계산을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업적보다도 더욱 유명한 일화가 있으니, 바로 1919년 일식 관측 도중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이 일렬로 늘어서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이를 토대로 행성의 운동 법칙을 밝혀낸 사건입니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발상이었던 이 주장은 이후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아서 스탠리 에딩턴은 어떤 사람인가요? 아서 스탠리 에딩턴은 1882년 12월 6일 런던에서 태어났.. 2023. 5. 29. 이전 1 2 3 4 5 6 다음